[알쓸치잡#1] 손목통증? 이 문제일 수 있다!
안녕하세요. 슈퍼치료사 케이입니다. 제 메이저 직업은 치료사인데 여기에 치료 관련 글을 올리는 것은 처음이라 이쪽이 제 부캐인 거 같이 됐네요. 오늘은 알아두면 쓸모있는 치료관련 잡학사전 (알쓸치잡) 관련 첫 번째 글로 손목통증 또는 팔꿈치 통증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저희 병원에는 허리나 목 통증에 준할 정도로 손목 통증으로 내원하시는 경우도 상당히 많습니다.
어떤 경우에 손목 통증이 있냐고 여쭤보면 보통은 어떤 특정 동작이나 일 (설거지, 일과 관련 손을 많이 쓰는 경우, 예를 들어 타일러, 또는 식당 서빙, 바리스타, 집안일 등)을 할 때 저릿저릿하게 아프거나 둔한 통증이 있다고 합니다.
자, 그럼 여기서 그 원인은 무엇일까요? 전부 그렇다고 할 수는 없지만 보통은 팔꿈치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습니다. 그럼 어떻게 자가 진단을 할 수 있을까요?

다음 사진과 같이 아픈 쪽 손의 팔꿈치 양쪽 (바깥쪽과 안쪽을 손으로 눌러보세요) 그리고 반대쪽이랑 비교를 해보세요. 바깥쪽이 아프면 테니스엘보우 (lateral epicondylitis)이고 안쪽이면 골퍼스 엘보우(Medial epicondylitis) 일 확률이 높습니다. 더욱 자세한 방법이 따로 있지만 해부학적 지식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그중에 테니스엘보우에 대해 좀 더 깊이 들어가 보겠습니다. 테니스엘보우는 예전부터 테니스 선수나 일반인 중에도 테니스를 치는 경우에 자주 호발해서 붙여진 이름이고 정식 명칭은 lateral epicondylitis (외측 상과염)입니다. 이는 건염의 일종으로 ACSM의 논문에 따르면 반복적인 동작과 loadingd으로 인한 스포츠 손상의 가장 흔한 유형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상체와 팔을 많이 쓰는 주부나 다른 운동을 좋아하는 일반일들에게 호발 하는 질병입니다.
다음 아래에 있는 그림과 같이 wrist extensors (손목 폄근)을 과하게 쓰면 팔꿈치 바깥쪽에 위 근육이 힘줄로 붙는 쪽에 염증이 생기게 됩니다(빨강 동그라미 부분). 한 번 테니스를 할 때 자주 하는 스트로크를 상상해 보고 한 번 빈손으로 해보세요. 팔을 위로 들 때 라켓 무게 때문에 특히 초보자분들은 손목이 꺾이게 됩니다.
그리고 이 부하들은 방금 언급한 손목굽힘근들 쪽(파랑 동그라미 부분)으로 과하게 들어갑니다. 그리고 이런 힘들이 이 힘줄이 붙는 부분에 찢어짐 (tear)이 생겨서 앞에서 말한 테니스 엘보우가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


이를 계속하게 되면 근육이 짧아지게 됩니다. 근육은 해부학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잘 늘어나고 짧아질 수 있는 근육과 그리고 뼈에 붙을 때는 탄력성이 적은 힘줄(tendon)로 변하면서 붙게 됩니다. 만약 잘못된 자세로 과하게 쓰게 되면 중간에 있는 근육은 평소에도 짧아진 상태를 유지하게 됩니다.
대부분의 부하를 힘줄이 받게 되고 micro tear 또는 damage를 지속적으로 받게 되어 힘줄 쪽에 염증이 생기게 됩니다. 그리고 이 근육은 팔꿈치부터 손목 위까지 올라가서 붙기 때문에 손목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치료를 위해서는 첫 재로는 정확한 검진을 통해 확실한 원인을 찾고 (60-70%의 경우 어깨나 목이 위 증상의 원인이거나 관련이 있습니다.) 도수치료나 기계(초음파, 전기치료 등등)를 통한 근육이완, 염증치료 그리고 교정 및 도수치료 (manual therapy) 이 들어가게 됩니다.
두 번째로는 자세교정입니다. 설거지를 할 때나, 서빙 또는 카페에서 커피를 뽑는 바리스타나 일할 때의 자세교정을 교육해 드립니다. 그리고 어떤 자세는 하지 말고 어떤 자세를 유지하도록 교육합니다.
마지막 세 번째로 그 원인에 맞는 스트레칭을 평소에 하셔야 합니다. 특히 상체를 쓰는 가사나 운동을 하고 나서는 얼음찜질과 알맞은 스트레칭을 해서 미세 근육 대미지가 빨리 회복되도록 해야 합니다.
만약 손목이 아픈데 앞에 나온 자가 검진을 했을 때 아플 때를 위한 간단한 셀프스트레칭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테니스 엘보우를 위한 자가 스트레칭>

1. 아픈 손목이나 팔꿈치가 있어서 간단 테스트를 해보니 외측상과염 (lateral epicondylitis) 임을 확인한다.
2. 아픈 손을 그림과 들고 손바닥이 아래로 향하게 하고 그 방향으로 다른 손으로 해당 근육이 약간 당길 때까지 밀어줍니다. 당기는 느낌이 날 때 그 자리에서 멈추어서 7~10초 정도 멈추어 줍니다.
3. 제 자리로 돌아옵니다. 이것은 10회 반복합니다. 만약 이 스트레칭 중이나 후에 통증이 증가한다면 스트레칭을 하지 않습니다.
*통증이나 문제가 있을 시 위 내용은 의학적인 소견이나 상담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 꼭 전문가 (피지오나 GP)를 직접 찾아가서 의학적 소견이나 조언을 받길 바랍니다.
-참고자료 및 출처
https://www.physioproperth.com.au/resources/exercises/arm-stretches/wrist-extensor-side-view/
Smidt, Nynke, et al. "Effectiveness of physiotherapy for lateral epicondylitis: a systematic review." Annals of medicine 35.1 (2003): 51-62.
Connell, David, et al. "Sonographic examination of lateral epicondylitis." American Journal of roentgenology 176.3 (2001): 777-782.
Levin, Dayna, et al. "Lateral epicondylitis of the elbow: US findings." Radiology 237.1 (2005): 230-234.
Boyer, Martin I. "Lateral tennis elbow:" Is there any science out there?"." Journal of Shoulder and Elbow Surgery 8.5 (1999): 481-491.
ALMEKINDERS, LOUIS C., and JOHN D. TEMPLE. "Etiology, diagnosis, and treatment of tendonitis: an analysis of the literature."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30.8 (1998): 1183-1190.
Kraushaar, Barry S., and Robert P. Nirschl. "Tendinosis of the elbow (tennis elbow): clinical features and findings of histological, immunohistochemical, and electron microscopy studies." 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 81.2 (1999): 259.
Regan, William, et al. "Microscopic histopathology of chronic refractory lateral epicondylitis."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20.6 (1992): 746-749.
Musculo Sci & Prac, 2008, Aug, 13, 4, 295 – 299
JAMA, 2013, Feb, 309, 5, 461 – 469